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리는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(COP29)에서는 전 세계 기후 전문가들이 모여 탄소 배출량 감소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. 이는 2015년 파리 기후협약에서 합의된 지구 평균 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.5℃ 이내로 제한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. 이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고,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해야 하지만, 현재 대기 중 온실가스 수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
트럼프는 기후변화를 '사실이 아닌 이야기'나 '값비싼 사기'로 규정하며, 재집권 시 파리기후협약에서 다시 한번 탈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이전 임기와 달리 이번에는 협정 탈퇴 절차가 1년 이내에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어, 국제 기후변화 대응에 큰 차질이 예상됩니다. 특히 트럼프는 '드릴, 베이비, 드릴' 슬로건 아래 석유, 천연가스, 석탄 추출을 적극 장려할 것으로 보이며, 해상 풍력 발전소 건설을 저지하고 연방 토지에서의 프래킹을 확대하는 등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이러한 정책 변화는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됩니다. 영국 싱크탱크 '카본 브리프'의 분석에 따르면, 트럼프 재임 4년 동안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바이든 정부 시기보다 최소 40억 톤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됩니다. 더욱 우려되는 점은 미국의 이러한 태도가 중국을 비롯한 다른 주요 공업국들의 배출량 감축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. 스톡홀름 환경연구원의 클라인 교수는 미국의 소극적 태도로 인해 다른 국가들도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일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.
그러나 희망적인 점은 트럼프의 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현재 미국 전력의 40%가 재생에너지에서 공급되고 있으며, IRA를 통한 친환경 에너지 투자의 대부분이 공화당 지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또한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산업이 화석연료 산업의 두 배 규모로 성장한 상황에서, 미국 정부도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와 경제적 이익을 완전히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
제레미 호웰
BBC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